[그래픽뉴스] 기준금리 인상<br /><br />한국은행이 두 달 만에 기준금리를 또 한 번 올려서, 코로나19 전 수준이 됐습니다.<br /><br />기준금리가 '2회 연속' 인상된 건 지난 2007년 이후 14년여 만의 일인데요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 현재 1%인 기준금리를 1.25%로 0.25%포인트 인상했습니다.<br /><br />금통위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.5%포인트 낮추는 이른바 '빅컷'과 추가 인하를 단행한 뒤, 15개월 만에 지난해 8월과 11월 각각 0.25% 인상했고, 이번 인상은 세번째 인상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.<br /><br />금통위가 빠른 속도로 기준금리를 올리는 건 치솟는 물가에 대응하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%를 넘어선 뒤 3개월간 3%대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미래 인플레이션 압력 역시 높은 만큼 물가상승률을 정부 목표치인 2%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는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또 미국의 조기 금리 인상에 대응하기 위한 측면도 있는데요.<br /><br />지난 6일, 연방공개시장위원회의 회의 의사록이 공개되면서 3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출, 원화 가치 하락 등을 막기 위해서는 미국보다 높은 수준에서 기준금리가 유지돼야 하는 만큼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린 겁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의 지난해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.25%포인트 인상되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이 2020년 말보다 2조9천억원 증가하고, 0.5%포인트 인상될 경우는 5조8천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.<br /><br />대출자 1인당 연이자 부담이 271만원에서 각각 286만원과 301만원으로 증가한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미 은행 대출금리는 지난해 1%포인트 이상 올라 5%대에 달하고 있는데, 현재 예상대로 올해 한두 차례 더 기준금리가 오르면 6%대가 넘어설 거라는 예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기준금리를 너무 빨리 올리면 가계의 이자 부담만 키울 거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인데요.<br /><br />경기회복에도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만큼 금리인상 속도 조절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